연애/남녀 | 2차대전이 끝나고 전역한 미군들이 받은 혜택?



2025-03-30 10:08


지 아이 빌(G.I. Bill)

풀네임은 '제대군인 원호법'이지만 보통 지 아이 빌로 많이 불림

미군 전역자들에게 광범위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법안.

1932년 보너스 아미 사건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음.

현역으로 90일 이상 복무하고 정상적으로 전역한 모든 미군들은 이 법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음.

기술을 배우고자 한다면
수료기간 동안의 생활비와 개별적인 1년간의 실업수당이 지급
됨.

사업을 하거나 농사를 짓고자 한다면
저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해줌. 담보도 크게 안 잡음
.
학업을 이어가고 싶어한다면
대학 등록금과 학비 전액, 생활비를 지급
해줌.

그리고 공통적으로
주택구입 or 건축 자금
도 지원해줌.

G.I. Bill의 혜택을 받은 미군들의 숫자는 780만명 정도로 추산됨

전쟁이 끝나고 1,400만명이나 되는 엄청난 수의 군인들이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실업난이나 사회적 문제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

왜냐하면 이들이 대부분 전역해서 바로 노동시장으로 직행한게 아니고
최소 1년 정도는 뭔가를 하면서 매우 천천히 돌아왔으므로 사회가 그 충격을 버틸 만한 수준
이었음.

특히 40년대 중후반 미국인들의 대학 진학률은 매우 높아졌는데, 이게 전부 다 지 아이 빌의 혜택을 받은 220만명의 전역군인들이 단과대학에서부터 로스쿨까지 미국 전역의 온갖 대학에 입학했기 때문임.

정말 공부와 담을 쌓고 살던 애들도 상관 or 전우들의 설득으로 대학 문턱 한번 밟아본 거임.

어린 시절 대공황으로 인생 하드모드를 겪어보고 전쟁으로 또 한번 담금질 된 20대 미국인 청년들에게 이 시기는 그야말로 천국과도 같았음.


나라에도 돈도 펑펑 주고, '너 하고 싶은거 한번 해봐라'하고 등 떠밀어주니 뭐가 됐던 도전해볼만 했음.


게다가 당대 미국은 교외주택 붐이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주택 가격 자체는 서민들에게 조금 부담이 되는 가격이었으나 G.I. Bill의 주택구입자금 지원을 받으면 눈 딱 감고 질러볼만한 수준이었음.
직장에서 몇십분 정도 떨어진 잔디밭과 뒷마당, 차고가 딸린 2층 주택에 살며 직장에 다니고 주말에는 가족들과 주말을 보내는 전형적인 미국 가정의 삶이 바로 여기서 비롯됨.

이렇게 지원을 받으며 사회로 복귀한 미국의 건아들은 국가의 허리를 떠받치는 중산층을 이뤘고, 미국의 황금기라 할 수 있는 50년대의 위대한 세대로 남게 됨.








← 목록으로
글 목록 (페이지 401 / 1014):
31세 돌싱녀, 16세 소년과 결혼 출산 돈 빌리러 온 남편 친구 2차대전이 끝나고 전역한 미군들이 받은 혜택? 일제강점기 의외의 사실 조남일녀 vs 조녀일남? 콘돔을 핥아먹는 다람쥐를 본 여자 사이즈 맞는 콘돔을 사기 어려운 이유 서양녀 여친 무릎 베개 1인칭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