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 이슈 | 이스라엘군이 단색 군복을 입는 이유



2025-07-12 21:16


미군 뒤에 있는 초록초록 이스라엘군.

혼자 과거에 있는 것처럼 확연히 차이가 나는데...





















이스라엘군은 병과 구분 없이 모두 단색 군복을 입기로 유명하다.
무기는 최첨단이면서 왜 그럴까?

그 이유로 밝힌 것들은 아래와 같다.




1. 위장 무늬의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

실제로 과거 이스라엘은 위장복을 도입해 테스트한 적이 있는데,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효과가 적다는 평가였다.
즉 단색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
(물론 이건 환경, 지형에 따른 차이가 있으니 이스라엘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일 수 있다.)


2. 위장보다 피아식별이 더 중요하다.

요즘은 반군까지 개나소나 다 위장복을 입기 때문에, 사방이 적인 이스라엘의 경우 오히려 구별이 잘되는 게 좋다고 한다.
특히나 이스라엘은 도시형 국가라 시가전이 많기에, 실전에서는 피아식별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결론이다.


3. 병사들이 좋아한다.

무엇보다 병사들이 압도적으로 현재 군복을 좋아한다고 한다.
매우 편하다는 평가로, ‘잘 만든 걸 굳이 왜 바꾸냐’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스라엘은 늘 전쟁을 겪는 나라로 병사들의 편의를 중시하는 편. 각 잡는 것보다 편한 걸 우선시해서 복장 규정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4. 전통(?)

이스라엘은 건국 이래 지금껏 수십년째(...) 계속 이 올리브색 군복을 입고 있다.
이미 해당 군복이 이스라엘군의 상징처럼 되어서, 그 정신을 계승하는 의미도 있다.
(*올리브는 이스라엘의 상징.)
물론 이건 큰 이유는 아니다. 어차피 예전에 바꾸려 한 적도 있고.


5. 경제적이다.

앞선 이유만으로도 충분한데, 위장 무늬에 비해 단색은 생산 단가도 낮다.
그래서 그 돈 그냥 다른데 투자하기로 했다.


















결론: 극한의 실전+실용주의로 인한 결과.







← 목록으로
글 목록 (페이지 5 / 9688):
약혐) 한 중국 자동차 랩핑샵의 무리수? 비둘기 때문에 부엉이인형 설치하면? 오늘자 복싱대회 비매너 선수 이스라엘군이 단색 군복을 입는 이유 필리핀의 일본인 교장이 체포된 이유 싱글벙글 북한의 흑백료리사 진짜 난감한 배달주문을 받은 갈비탕집 사장님의 선택